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김치 먹으면 몸에 어디에 좋은가요? 알아보기

by 매일떠나고싶은날 2021. 2. 9.

김치 먹으면 몸에 어디에 좋은가요? 알아보기

 

김치는 한국의 대표적인 발효 식품입니다. 겨울에 친척들 다 같이 김장했던 기억이 나는데요. 김

치가 몸 어디에 좋을지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김치는 지역마다 재료, 종류 특성 담그는 방법등 차이가 엄청 많이 있는데요. 

 

신경통, 피로회복

김치에는 신경통, 피로회복에 좋은데요.

그 이유중 하나가 비타민a, b, c가 다 들어가 있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배추 김치는 객담을 배출하고 묵은지와 김치 찌게로 먹으면 위에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하지만 너무 맵게 먹거나 차게 많이 먹게 되면 효율적이지 못합니다. 

 

 

김치의 효능은 단지 유산균에서만 오는 것이 아니라 발효 과정에서

생산된 수많은 유익한 물질들도 큰 역할을 하게 됩니다. 

연구를 통해서 돼지 2천마리에게 김치의 유산균을 먹이게 되었는데

1주일만에 100%완치 되었다는 내용을 보게 되었습니다. 

김치에 면역글로불린a,g,감마 인터페론을 증가시켜 바이러스의

감염까지 예방할 수 있다는데요. 정말 장점이 많은 밥도둑 김치입니다. 

 

 

이외에도 기사를 보니 순천고들빼기 김치는 실험을 통해 고혈압에 효과가 있다고 하는데요. 

ACE저해활성 비교에서 청국장은 17,8%,

고들빼기는 80.9%로 4배 이상으로 항고혈압 활성을 확인했다고 하는데요. 

고들빼기는 순천시의 대표 특산물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김치는 간이 센 만큼 나트륨 함유량이 너무 많이 있습니다.

현재는 밥량은 점점 줄어들고 반찬을 많이 먹는 식습관이 형성되는데,

이걸 기준으로 보면 전통적 한식은 나트륨 함량이 너무 많아진 것이 단점입니다.

옛날 선조들은 염분을 쓴 이유중 하나가 유산균 외의 균을

죽이고 냉장고가 없던 시절 장기 보존 했던것과는 비교가 될 것입니다. 

 

고염분은 피하는게 맞다고 생각되는데요. 모든지 자신의

몸에 맞게 적절하고 적당하게 드시는 것이 좋을거라 생각됩니다. 

 

 

댓글